top of page

김성연 - Sungyeon Kim

Sungyeon Kim explores the "boundary of body " and re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herself, society, starting with questions about the organization. 

Sungyeon Kim is a performance artist and sculptor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body, materiality, and migration. Originally from Seoul, she is currently based in London, completing her MA in Performance Art at Central Saint Martins. Her work investigates human-nature connectivity, integrating sustainable materials, plant bio-signals, and somatic movement practices to create immersive, participatory performances.

With a background in Fine Art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ungyeon’s artistic practice is deeply informed by her third-culture identity, having lived in Korea, the Czech Republic, the UK, and now considering Denmark for further research. Her projects often focus on diaspora, memory, and adaptation, drawing parallels between plant growth and human migration.

Sungyeon’s research extends beyond traditional performance art, incorporating biological adaptation,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socially engaged practices. Through workshops and installations, she collaborates with immigrant and refugee communities, using art as a bridge for cultural dialogue and collective storytelling.

Her influences range from phenomenology and somatic methodologies to bio-integrated art, and she continuously challenges the boundaries of performance by engaging audiences in site-specific, interactive experiences. Whether through sculptural installations, live performances, or research-driven workshops, Sungyeon’s work redefines performance as a living, evolving entity that connects people, place, and memory.

김성연은 신체, 재료, 그리고 이주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퍼포먼스 아티스트이자 조각가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현재 런던과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몸의 범주”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스스로와 타자, 사회의 범주와 관계를 재설정 한다. 

김성연에게 “몸”이란 때론 육체적인 물질로서의 몸으로서 다루어 지기도, 지극히 개인적인 심리현상이나 사회적인 존재로서 다루어지기도 한다.

조각과 퍼포먼스, 인스톨레이션을 주 매체로, 작업은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을 연구하며, 지속 가능한 재료, 식물학, 그리고 소마틱 움직임 기법을 활용해 몰입형 퍼포먼스를 창작한다.

또한 제3문화 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이주, 기억, 적응의 개념을 작품에 녹여낸다. 한국, 체코, 영국을 거쳐 특히 식물의 생존 방식과 인간의 이주 경험을 연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성연의 연구는 단순한 퍼포먼스를 넘어 생물학적 적응, 생태적 지속 가능성, 사회 참여적 예술을 포함한다. 그녀는 난민 및 이주민 커뮤니티와 협업하며, 워크숍과 설치 작업을 통해 예술을 문화적 대화와 집단적 스토리텔링의 장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최근 작업들은 신체의 현상학, 소마틱 방법론, 바이오-인터랙티브 아트에 기반하며, 특정 장소와 관객의 참여를 통해 퍼포먼스의 경계를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조각 설치, 라이브 퍼포먼스, 연구 기반 워크숍 등을 통해, 김성연은 퍼포먼스를 살아있는 유기적 개체로 재정의하며, 사람과 장소, 기억을 연결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있다.

자유로운 매체를 택하고 경계를 허묾으로서, 작품이 전달되는 방식과 이를 통한 관객들 사이의 기류 및 상호작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Education

2017~

2021

2019~

2020

한국예술종합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 - fine art  BA

Academy of Fine art in Prague - Intermedia 2 studio
 

2023~

University of Arts in London, Central Saint Martin - Performance: Design and practice MA

2014~

2017

서울예술고등학교       Seoul art high school - sculpture

Exhibitions 

2024. 06

2024.02

Constellations of Care.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UK

Passage. Studio Theater. London. UK

2024. 01. 13

2023. 12

2023. 11

2023. 06.

2022.12

2022. 10

A Home is a Cloud. Swiss Church. London. UK

Dancing in the Stasis. 안밖 스페이스. AnnPaak Space. Seoul. S.Korea

When a Lamb runs It runs fast. Platform Theater. London. UK

​유리까는 사람들. Glass Pavers. Space00.00 Seoul. S.Korea

​이몸저방구석. This body and that room.  성동 장애문화재단. Seoul. S.Korea

PACK WEEK . Platform-L. Seoul. S. Korea

2022. 07 

Veggie Love. 175 gallery. Seoul. S. Korea

2022. 6-5

Out of Crosshair. Faction 팩션.  Seoul. S. Korea

2022. 3.

방학 숙제 (앵콜전) Vacation Homework (encore). - 공간 일상. Place Stay Ilsang. Seoul. S.Korea

2022. 26. 02-03.

Take-Off to Art-Space! (on/offline). Spatial(Metaverse) / erolpa. Seoul. 

2022. 23~28. 02. 

방학 숙제 Vacation Homework. - 플렛폼 팜파. Platform Pampa. Seoul. S. Korea

2022. 01. 4~16

2021. 12. 11~12. 

2021. 10. 23. 

She Walks the Air IIX. Revson Plaza. New York, NY. USA

Estrogenious Festival. Kraine Theater. New York, NY. USA 

2021.9.29~10.3

Canverse 5th Exhibition (on/offline). Chosobooks. Seoul. S. Korea

2020.12.21~31

2019.10.1~4

2019.6.12~14

2018. 6. 8

내가 나일 확률 - 복도갤러리 hallway gallery. South Korea

the probability that I'll be my own

Photography and Holography - B104 gallery. Seoul. South Korea

춤과 안무 Dance and Choreography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Seoul. South Korea

Workshop

2021

Between Skin (Co-Choreo-lab 선정) . 서울무용센터Seoul Dance Center. Seoul. South Korea 

2021

김성연 X TDCC, 몸&꿈 워크샵  (Body&Dream Workshop)

Bibliography

2020

Publish

2021

Contact 

  • Instagram

Mangdoongjjang

  • Sungyeon Kim

Sungyeon Kim

 ©Sungyeon Kim.

  • Grey Facebook Icon
  • Grey Instagram Icon
  • Grey Vimeo Icon
bottom of page